본문 바로가기
이슈방이

자이언트 스텝, 빅 스텝 뜻(미국,영국)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by 너굴방이 2022. 11. 5.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이슈되는 경제용어로 자주 등장하는 자이언트 스텝과 빅 스텝에 대한 용어 뜻과 영향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게티이미지 코리아

✔︎ 자이언트 스텝 / 빅 스텝 뜻

국내 언론, 증권사 리포트에서 칭하길 미국연방준비제도(Fed)가 물가 조정을 위하여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정책이며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하는 통용되는 용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1) 자이언트 스텝
  : 금리를 한 꺼번에 0.75 포인트 올리는 것
2) 빅 스텝
  : 금리를 0.5 포인트 올리는 것

※베이비 스텝 : 0.25 포인트 인상


경제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금리는 0.25 포인트씩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나, 인플레이션 등의 우려가 커질 때는 이보다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리기도 합니다.

✔︎ 자이언트 스텝의 실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4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는 사상 초유의 결정을 내렸습니다.

 

 


2일 연방준비제도는 6/7/9월에 이어 또다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린다고 밝혔습니다. 그리하여  미국 기준금리는 기존 3.0~3.25%에서 3.75~4.0%로 뛰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리를 올릴시 점차 인상하는 베이비 스텝을 실행합니다.
하지만 베이비 스텝으로도 물가를 잡지 못할 거라고 예상하면 빅 스텝이나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하게 됩니다.

이와 관련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75%포인트 오른 건은 1994년 11월이 마지막입니다. 자이언트 스텝이 무려 28년만에 실현된 사항이니 그만큼 미국에서는 살인적인 고물가가 이어지는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현재 원/달러 환율은 1,400원까지 오른 뒤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환율은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 삼는 한국은행은 환율 상승 억제를 위한 금리 인상이 불가피 해졌습니다.

현재 한국은행과 연준의 기준금리 격차는 상단 기준 1포인트입니다.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을 멈추거나 소폭 인상에 멈추면 한미 금리 역전폭은 2포인트 안팎으로 벌어지게 됩니다. 이 경우 원/달러 환율 상승 등 부작용을 키우게 됩니다. 이번 24일 진행 예정인 2022년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 관심이 집중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