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방이

경찰계급도(표)체계가 너무 많은 계급. 치안총감(경찰총장)이하 11조직

by 너굴방이 2022. 11. 7.
반응형

이태원 참사 사고로 인하여 당시 경찰의 미흡한 대처라고 도마위에 오른 가운데, 경찰계급도. 바로 경찰계급이 너무 많아서 내부 소통을 저해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경찰 계급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 대한민국 경찰 계급도

대한민국 경찰은 특정직 국가공무원으로 분류됩니다. 이중 경찰청장인 치안총감이 가장 높은 계급이며 모두 11개 체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경찰계급도순경 →경장 →경사 등 비간부(현장실무자) 경위 →경감 →경정 → 총경 → 경무관
→치안감 → 치안정감 → 치안총감 등
간부체계로 나눠집니다.
경찰계급도는 비간부 직급은 3단계, 간부 직급은 8단계로 세분화 되어있습니다.

경찰계급도 중 현장실무자(순경-경장-경사)는 일선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치안실무자로 볼수 있습니다. 우리 국민, 시민들과 가장 많이 밀첩하게 접할수 있는 임무를 한다고 보면 됩니다.

경찰계급도의 비간부로는 계급은 아래 사진과 같이 하단의 태극장 위에 2개의 무궁화 봉오리로 되어 있으며
2~4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순경-경장-경사 순) 그리고 1개는 의무경찰로 부여됩니다.

경찰계급도의 간부로는 경위, 경감, 경정, 총경은 중앙에 태극장을 배치한 무궁화수는 1~4개로 구분하게 됩니다. 경찰계급도의
1)경위 → 지구대 순찰팀장 / 파출소장
경찰서 계장급 / 경찰청,지방청 실무자로 근무하게됩니다.
경찰대학 4년 졸업 후 임관 혹은 경찰 간부 후보생 과정 교육을 마치면 경위가 되게 됩니다.

 

 


2) 경감 →  지구대장 / 경찰서 주요 계장 및 팀장(생활안전, 강력, 정보 2 등)    
경찰청, 지방청 반장급으로 근무하게 됩니다.

3)경정 →  경찰서 과장 /경찰청, 지방청 계장급으로 근무하게 됩니다.

4)총경 →  경찰서장 /경찰청 지방청 과장 급으로 근무하게 됩니다.

경무관, 치안감, 치안정감, 치안총감은 중앙에 태극장을 배치한 무궁화 둘레에 같은 무궁화 5개를 5각으로 연결한 태극 무궁화의 수 1~4개로 구분하게 됩니다.

1) 경무관 → 지방청차장 /서울,부산,경기·인천 지방청부장 / 경찰청 심의관  / 경찰수사 연수원장 급입니다.

 

 


2) 치안감 → 지방경찰청장 /경찰교육원장 / 중앙경찰학교장 /경찰청국장급으로 근무하게 됩니다.

3)치안정감 → 경찰청 차장 / 서울·부산·경기·인천 / 지방경찰청장 경찰대학장급입니다.

4) 치안총감 → 경찰의 총수인 경찰청장으로 근무합니다. 경찰청장은 경찰위원회의 동의를 얻어 행정안전부장의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합니다.
  
경찰청장은 국회의 인사청문회를 거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